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ecode#위코드#너무어려워#멘토님감사합니다
- 멘토님포함
- 벌써보고싶어38기
- Github웹호스팅 #HTML#CSS
- wecode#위코드
- wecode
- 시멘틱 웹#시멘틱 태그#로멘틱성공적
- Today
- Total
lflov
API 본문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1. API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전적 정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한테는 어려운 얘기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API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Interfac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Interface
2-1. Interface란?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체가 상호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접점이나 경계면을 말합니다. 즉,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입니다.
[그림 2-1] Interface
2-2. 실생활 예제 - 식당 점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에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접점이라는 점에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인터페이스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 2-2] 실생활에서의 Interface
식당에는 음식을 주문 받는 점원과 요청에 맞게 음식을 요리하는 요리사 그리고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점원이 가져다준 메뉴판을 보면서 음식을 선택하고, 점원이 주문을 받아 요리사에게 요청을 합니다. 요리사는 어떤 손님이 어떤 음식을 주문 했는지는 모르지만 요청이 들어온 음식(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등)을 요리해서 점원에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점원은 전달받은 요리를 식기류, 물과 함께 손님에게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의 역할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점원은 손님에게 메뉴를 알려주고, 주방에 주문받은 요리를 요청합니다. 그다음 주방에서 완성된 요리를 손님께 다시 전달합니다. 여기서 점원이 손님과 요리사 사이에서 소통을 주관하는 접점(Interface) 입니다.
3. UI (User Interface) -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UI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접점(매개체)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서 상호간에 소통할 수 있도록 입력, 출력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UI 종류
3-2-1. Hardware User Interface
컴퓨터에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업을 명령합니다.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은 모니터가 하는 것입니다.
3-2-2.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 아이콘을 통해서 컴퓨터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프로그램 아이콘, 드래그앤 드랍 등이 있습니다.
[그림 3-1]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3-2-3. Web User Interface (WUI)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인터페이스로 화면의 디자인, 그 안을 이루는 배너, 아이콘, 검색 버튼, 결제 버튼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말합니다.
[그림 3-2] Airbnb Website
4.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1. API란 무엇인가?
앞에서 Interface는 소통하기 위한 접점, UI는 사용자가 소통하기 위한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API란 무엇과 무엇의 소통을 위한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그림 4-1] API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란 운영체제(MacOS, Linux, Window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Slack, KakaoTalk, 메모장, Keynote, Excel 등이 있습니다.
[그림 4-2] Application
그렇다면, API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이에서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즉 접점 혹은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접점 혹은 경계면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 어떤 함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4-2. 웹 서비스에서의 API
API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소통 역할을 하는 접점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앱 서비스에 있어서 API란 무엇 일까요?
여러분이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운영체제 혹은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3가지를 얘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를 표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hrome 브라우저)와 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MySQL, Oracle, Postgres)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여러가지 이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직접 요청해서 받아올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에서 소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러한 소통의 역할을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이 API 입니다.
[그림 4-3] 웹 시스템에서 API
4-2-1. 클라이언트(Client)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Mobile App 등이 있습니다.
4-2-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이용자들의 데이터(회원 정보, 게시물, 댓글, 좋아요, 사진, 영상)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4-2-3.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인스타그램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보여지는 모든 데이터(게시글)와 데이터 관련 작업(게시글에 댓글 달기)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 여기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데이터베이스(인스타그램 서비스의 데이터 집합) 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위해서 필요한 접점이 API입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ress와 TypeORM (1) | 2022.10.05 |
---|---|
TypeORM & DB connection (1) | 2022.10.05 |
Express 초기설정? (1) | 2022.10.05 |
데이터베이스 (0) | 2022.09.26 |
백엔드 공부 1 - 웹 서비스의 역사와 발전 (0)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