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lov

타입스크립트 - 타입선언 & 타입들 본문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 타입선언 & 타입들

마젠토브힘내부왕 2022. 12. 17. 16:28

타입스크립트 타입선언

  1. 변수 타입 추론하기
let a = 'string' // 타입스크립트는 변수 a의 데이터 타입을 추론할 수 있다.
a = 'bye' // string -> string으로 바뀌는것이므로 가능
a = 1 // error! -> 타입스크립트는 변수 a를 string으로 추론했는데 number타입인 1을 넣었으므로 에러발생

  1. 변수 타입 정해주기
let b : boolean = 'error' // error! -> 변수 b의 데이터타입을 boolean으로 정해줬는데 string을 대입하면 error발생
let c : boolean = true // 변수 c가 boolean타입이므로 가능

Type Checker가 타입이 어떤지 체크하고 있따

let a : number[] = [ 1, 2, 3, 4] // 배열 타입 정해주는법

타입스크립트의 타입들

 

let a : string = 'string' // string 타입
let b : number = 1 // number 타입
let c : string[] = ['1','2'] // string Array 타입
let d : number[] = [ 1, 2 ] // number Array 타입
let e : boolean = true // boolean 타입
function f(parameter:string) : string { // 함수의 배개변수 타입 & 함수의 리턴타입
	return 'abc'
}
const g : {
	name:string,
	age:number
}
= {
	name : '이현태',
	age: 28
}
// 객체의 type 선언

type Player = { name:string , age ?: number } // type의 별칭 선언 ( 타입을 정의한다는 느낌)

//위의 객체를 별칭 ( alias ) 로 변경하여 사용하는법

const g : Player = {
	name:'이현태',
	age : 28
}
//요렇게 변형 가능

const h : [ string, number, boolean ] = [ '1', 2, true ]
//배열안에 여러개의 타입들의 요소가 들어가는 상태의 타입을 정해주는걸 Tuple이라고 한다

let i : undefined = undefined; // undefined 타입도 존재
let j : null = null; // null 타입도 존재
let k : any[] = [] // any타입은 js처럼 어떠한 동작도 가능한다.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입스크립트 - Optional  (0) 2022.12.17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  (0) 2022.12.17